2025.06.30 | 전세가격지수 (아파트) | 한국부동산원
충북
100.23
전기대비 -0.00 0.00%
3M 6M 1Y 5Y 10Y MAX

히트맵 보기
기간 2012.05.07 ~ 2025.06.30
날짜 단위 전기대비
2025.06.30 100.23
-0.00
0.00%
2025.06.23 100.23
-0.01
0.01%
2025.06.16 100.24
+ 0.00
0.00%
2025.06.09 100.23
+ 0.03
0.03%
2025.06.02 100.20
+ 0.00
0.00%
2025.05.26 100.20
+ 0.06
0.06%
2025.05.19 100.14
+ 0.01
0.01%
2025.05.12 100.13
+ 0.04
0.04%
2025.05.05 100.08
+ 0.03
0.03%
2025.04.28 100.05
+ 0.01
0.01%
2025.04.21 100.04
+ 0.00
0.00%
2025.04.14 100.04
+ 0.03
0.03%
2025.04.07 100.01
+ 0.01
0.01%
2025.03.31 100.00
+ 0.00
0.00%
2025.03.24 100.00
-0.01
0.01%
2025.03.17 100.01
+ 0.03
0.03%
2025.03.10 99.98
+ 0.06
0.07%
2025.03.03 99.92
+ 0.01
0.01%
2025.02.24 99.91
+ 0.03
0.03%
2025.02.17 99.88
+ 0.03
0.03%
2025.02.10 99.85
+ 0.01
0.01%
2025.02.03 99.84
+ 0.03
0.03%
2025.01.20 99.80
+ 0.01
0.01%
2025.01.13 99.80
+ 0.02
0.02%
2025.01.06 99.77
+ 0.03
0.03%
정보
출처
한국부동산원

주석
- 전국 아파트 900만채 중에서 1만7190가구의 표본을 뽑아서 집값 상승률 추이를 분석하는 방식. 감정원 직원들이 실거래가(표본)와 주변 시세 등을 통해 산출.
- 매매가격지수의 표본은 장기적으로 관찰하려는 목적에서 정한 만큼 변동이 크지 않음. 만약 평균적인 가격 상승세를 따라가지 않는 집 위주로 표본이 선정됐다면, 실제 집값 상승률보다 과소 측정될 수 있음.
- 기준시점(주) : 2025.03.31.=100.0
- 기준월 : 2021.06.=100
- 조사목적 : 전국 주택시장의 매매 및 전세가격을 조사하여 주택시장의 평균적인 가격변화를 측정, 주택시장 판단지표 또는 주택정책 수립의 참고자료 제공
- 중위주택가격 : 중위가격은 중앙가격이라고도 하며 주택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때 중앙에 위치하는가격을의미
- 아파트 : 5개 층 이상의 공동주택
* 연립다세대 및 단독주택은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- 분기 및 연 데이터는 해당 주기의 마지막 월 데이터
ex)2020년 1분기 = 2020년 3월, 2020년 = 2020년 12월
- '13.1.1 KB국민은행에서 한국부동산원으로 이관 되었으며 시범조사 '12.5.7 일 부터 시계열제공

최종수정일
2025-07-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