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.09 | 통화 | 한국은행
M2
3,851.8157 조원 176.62% | GDP대비
전기대비 + 20.8988 0.55%
전년대비 + 93.6930 2.49%
10Y
MAX

INDEXerGO
기간 1986.01 ~ 2023.09
날짜 단위(조원) 전기대비 전년대비 /GDP
2023.09 3,851.8157
+ 20.8988
0.55%
+ 93.6930
2.49%
176.62
2023.08 3,830.9169
+ 8.8803
0.23%
+ 81.7120
2.18%
175.66
2023.07 3,822.0366
+ 20.8296
0.55%
+ 91.5880
2.46%
175.25
2023.06 3,801.2070
+ 16.1940
0.43%
+ 80.0840
2.15%
174.29
2023.05 3,785.0130
-8.2469
0.22%
+ 86.0550
2.33%
173.55
2023.04 3,793.2599
-17.8790
0.47%
+ 116.6980
3.17%
173.93
2023.03 3,811.1389
+ 4.4743
0.12%
+ 139.0050
3.79%
175.34
2023.02 3,806.6646
+ 11.3023
0.30%
+ 150.5290
4.12%
175.13
2023.01 3,795.3623
-4.6985
0.12%
+ 161.0200
4.43%
174.61
2022.12 3,800.0608
-5.7952
0.15%
+ 180.0030
4.97%
175.78
2022.11 3,805.8560
+ 35.3560
0.94%
+ 211.1330
5.87%
176.05
2022.10 3,770.5000
+ 12.3776
0.33%
+ 227.1360
6.41%
174.42
2022.09 3,758.1224
+ 8.9175
0.24%
+ 244.4420
6.96%
174.63
정보
출처
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

주석
- 본원통화
화폐발행액 + 금융기관의 對한은 원화예치금
- M1(협의통화)
현금통화 + 요구불예금.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- 동 금융상품의 예금취급기관 간 상호거래분
- M2(광의통화)
M1 + 기간물 정기예금,적금 및 부금 + 시장형금융상품(CD,RP,표지어음) + 실적 배당형금융상품(금전신탁,수익증권 등) + 금융채 + 기타(투신증권저축, 종금사 발행어음) - 동 금융상품 중 장기(만기 2년이상) 상품 - 동 금융상품의 예금취급기관 간 상호거래분
- Lf(금융기관 유동성)
M2 + M2 중 만기2년이상 예적금 및 금융채 + 한국증권금융(주)의 예수금 + 생보사 계약준비금 - 동 금융상품의 Lf 편제대상기관 간 상호거래분
- 단기유동자금비율(M1/M2)
ㅇ 단기유동자금비율(상승) = 투자대기자금(증대) & 실물경제유입(감소)
ㅇ 단기유동자금비율(하락) = 투자대기자금(감소) & 실물경제유입(증대)
- 통화승수(M2/본원통화)
ㅇ 통화량을 본원통화로 나눈 비율
ㅇ 한국은행이 본원통화 1원을 공급했을 때 이의 몇 배에 달하는 통화를 창출하였는가를 나타내주는 지표
ㅇ 통화승수(상승) = 시중 자금 순환(상승)
ㅇ 통화승수(하락) = 시중 자금 순환(하락)
- 통화유통속도(GDP/광의통화)
ㅇ 일정 기간 동안 한 단위의 통화가 거래에 사용되는 횟수
ㅇ 통화유통속도(상승) = 경제활력(상승 or 과열)
ㅇ 통화유통속도(하락) = 경제활력(하락 or 침체)

최종수정일
2023-11-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