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.09 | 통화 | 한국은행
통화승수 (Money Multiplier)
14.67
전기대비 + 0.07 0.47%
전년대비 + 0.64 4.59%
10Y
MAX

INDEXerGO
기간 1986.01 ~ 2023.09
날짜 단위 전기대비 전년대비
2023.09 14.67
+ 0.07
0.47%
+ 0.64
4.59%
2023.08 14.60
+ 0.17
1.16%
+ 0.52
3.72%
2023.07 14.44
-0.20
1.38%
+ 0.79
5.78%
2023.06 14.64
+ 0.22
1.53%
+ 0.57
4.06%
2023.05 14.42
-0.34
2.27%
+ 0.42
2.98%
2023.04 14.75
-0.10
0.69%
+ 0.78
5.56%
2023.03 14.85
+ 0.24
1.62%
+ 0.64
4.52%
2023.02 14.62
+ 0.07
0.51%
+ 0.45
3.16%
2023.01 14.54
+ 0.04
0.30%
+ 0.48
3.40%
2022.12 14.50
-0.07
0.45%
+ 0.18
1.29%
2022.11 14.57
+ 0.73
5.24%
+ 0.20
1.38%
2022.10 13.84
-0.19
1.33%
-0.25
1.76%
2022.09 14.03
-0.05
0.37%
-0.32
2.23%
정보
출처
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

주석
- 본원통화
화폐발행액 + 금융기관의 對한은 원화예치금
- M1(협의통화)
현금통화 + 요구불예금.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- 동 금융상품의 예금취급기관 간 상호거래분
- M2(광의통화)
M1 + 기간물 정기예금,적금 및 부금 + 시장형금융상품(CD,RP,표지어음) + 실적 배당형금융상품(금전신탁,수익증권 등) + 금융채 + 기타(투신증권저축, 종금사 발행어음) - 동 금융상품 중 장기(만기 2년이상) 상품 - 동 금융상품의 예금취급기관 간 상호거래분
- Lf(금융기관 유동성)
M2 + M2 중 만기2년이상 예적금 및 금융채 + 한국증권금융(주)의 예수금 + 생보사 계약준비금 - 동 금융상품의 Lf 편제대상기관 간 상호거래분
- 단기유동자금비율(M1/M2)
ㅇ 단기유동자금비율(상승) = 투자대기자금(증대) & 실물경제유입(감소)
ㅇ 단기유동자금비율(하락) = 투자대기자금(감소) & 실물경제유입(증대)
- 통화승수(M2/본원통화)
ㅇ 통화량을 본원통화로 나눈 비율
ㅇ 한국은행이 본원통화 1원을 공급했을 때 이의 몇 배에 달하는 통화를 창출하였는가를 나타내주는 지표
ㅇ 통화승수(상승) = 시중 자금 순환(상승)
ㅇ 통화승수(하락) = 시중 자금 순환(하락)
- 통화유통속도(GDP/광의통화)
ㅇ 일정 기간 동안 한 단위의 통화가 거래에 사용되는 횟수
ㅇ 통화유통속도(상승) = 경제활력(상승 or 과열)
ㅇ 통화유통속도(하락) = 경제활력(하락 or 침체)

최종수정일
2023-11-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