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2024.1/4 |
2024.2/4 |
2024.3/4 |
2024.4/4 |
2025.1/4 |
2025.2/4 |
[ 국내은행-차주가중종합지수 ] |
24 |
5 |
17 |
7 |
14 |
11 |
전기대비증감률 |
500.00 |
-79.17 |
240.00 |
-58.82 |
100.00 |
-21.43 |
전년동기대비증감률 |
500.00 |
-72.22 |
21.43 |
75.00 |
-41.67 |
120.00 |
[ 국내은행-대기업 ] |
11 |
8 |
6 |
0 |
6 |
11 |
전기대비증감률 |
266.67 |
-27.27 |
-25.00 |
-100.00 |
0.00 |
83.33 |
전년동기대비증감률 |
266.67 |
-52.94 |
-64.71 |
-100.00 |
-45.45 |
37.50 |
[ 국내은행-중소기업 ] |
33 |
17 |
6 |
8 |
19 |
25 |
전기대비증감률 |
312.50 |
-48.48 |
-64.71 |
33.33 |
137.50 |
31.58 |
전년동기대비증감률 |
450.00 |
-10.53 |
-64.71 |
0.00 |
-42.42 |
47.06 |
[ 국내은행-가계(일반) ] |
-8 |
-8 |
17 |
8 |
14 |
14 |
전기대비증감률 |
-33.33 |
0.00 |
312.50 |
-52.94 |
75.00 |
0.00 |
전년동기대비증감률 |
27.27 |
0.00 |
383.33 |
233.33 |
275.00 |
275.00 |
[ 국내은행-가계(주택) ] |
31 |
6 |
28 |
6 |
6 |
6 |
전기대비증감률 |
416.67 |
-80.65 |
366.67 |
-78.57 |
0.00 |
0.00 |
전년동기대비증감률 |
1133.33 |
-57.14 |
64.71 |
0.00 |
-80.64 |
0.00 |
[ 상호저축은행 ] |
9 |
4 |
-7 |
-3 |
7 |
12 |
전기대비증감률 |
325.00 |
-55.56 |
-275.00 |
57.14 |
333.33 |
71.43 |
전년동기대비증감률 |
200.00 |
233.33 |
-600.00 |
25.00 |
-22.22 |
200.00 |
[ 신용카드회사 ] |
25 |
6 |
19 |
0 |
14 |
0 |
전기대비증감률 |
516.67 |
-76.00 |
216.67 |
-100.00 |
0.00 |
-100.00 |
전년동기대비증감률 |
257.14 |
-68.42 |
171.43 |
100.00 |
-44.00 |
-100.00 |
[ 상호금융조합 ] |
-14 |
-10 |
-6 |
-1 |
0 |
6 |
전기대비증감률 |
-133.33 |
28.57 |
40.00 |
83.33 |
100.00 |
0.00 |
전년동기대비증감률 |
44.00 |
23.08 |
25.00 |
83.33 |
100.00 |
160.00 |
[ 생명보험회사 ] |
2 |
12 |
3 |
8 |
-1 |
-1 |
전기대비증감률 |
-80.00 |
500.00 |
-75.00 |
166.67 |
-112.50 |
0.00 |
전년동기대비증감률 |
-77.78 |
300.00 |
-50.00 |
-20.00 |
-150.00 |
-108.33 |
출처
한국은행「금융시장 동향」 / 6.5.2. 대출행태서베이(대출수요)
주석
가장 최근 분기는 전망치, 여타 분기는 실적치 기준임
[대출수요] : (+)부호는 대출수요 증가, (-)부호는 그 반대를 의미
국내은행-차주가중종합지수 : 개별은행의 차주별 대출금액으로 가중평균
금융기관 여신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
- 총 204개 금융기관(국내은행 18개, 상호저축은행 26개, 상호금융조합 142개, 신용카드회사 8개 및 생명보험회사 10개)
지수 산출 방법
- 대출태도, 신용위험 및 대출수요에 대한 지난 분기 동향 및 다음 분기 전망을5개 응답항목*을 통해 조사한 후 가중평균**하여 지수를 산출
* ① 크게 완화[증가] ② 다소 완화[증가] ③ 변화없음 ④ 다소 강화[감소] ⑤ 크게 강화[감소]
** [(‘크게 완화(증가)’ 응답 비중 × 1.0 + ‘다소 완화(증가)’ 응답 비중 × 0.5) - (‘크게 강화(감소)’ 응답 비중 × 1.0 + ‘다소 강화(감소)’ 응답 비중 × 0.5)] × 100
- 지수는 100과 -100 사이에 분포하며 지수가 양(+)이면「완화(증가)」라고 응답한 금융기관의 수가「강화(감소)」라고 응답한 금융기관의 수보다 많음을, 음(-)이면
최종수정일 : 2025-04-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