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
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
주석
- 본원통화
화폐발행액 + 금융기관의 對한은 원화예치금
- M1(협의통화)
현금통화 + 요구불예금.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- 동 금융상품의 예금취급기관 간 상호거래분
- M2(광의통화)
M1 + 기간물 정기예금,적금 및 부금 + 시장형금융상품(CD,RP,표지어음) + 실적 배당형금융상품(금전신탁,수익증권 등) + 금융채 + 기타(투신증권저축, 종금사 발행어음) - 동 금융상품 중 장기(만기 2년이상) 상품 - 동 금융상품의 예금취급기관 간 상호거래분
- Lf(금융기관 유동성)
M2 + M2 중 만기2년이상 예적금 및 금융채 + 한국증권금융(주)의 예수금 + 생보사 계약준비금 - 동 금융상품의 Lf 편제대상기관 간 상호거래분
- 단기유동자금비율(M1/M2)
ㅇ 단기유동자금비율(상승) = 투자대기자금(증대) & 실물경제유입(감소)
ㅇ 단기유동자금비율(하락) = 투자대기자금(감소) & 실물경제유입(증대)
- 통화승수(M2/본원통화)
ㅇ 통화량을 본원통화로 나눈 비율
ㅇ 한국은행이 본원통화 1원을 공급했을 때 이의 몇 배에 달하는 통화를 창출하였는가를 나타내주는 지표
ㅇ 통화승수(상승) = 시중 자금 순환(상승)
ㅇ 통화승수(하락) = 시중 자금 순환(하락)
- 통화유통속도(GDP/광의통화)
ㅇ 일정 기간 동안 한 단위의 통화가 거래에 사용되는 횟수
ㅇ 통화유통속도(상승) = 경제활력(상승 or 과열)
ㅇ 통화유통속도(하락) = 경제활력(하락 or 침체)
최종수정일 : 2023-11-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