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.3/4 | GDP | 한국은행
GDP(4분기합)
2,204.2975 조원
전기대비 + 23.3910 1.07%
전년대비 + 52.2130 2.43%
10Y
MAX

INDEXerGO
기간 1960.4/4 ~ 2023.3/4
날짜 단위(조원) 전기대비 전년대비
2023.3/4 2,204.2975
+ 23.3910
1.07%
+ 52.2130
2.43%
2023.2/4 2,180.9065
+ 7.3293
0.34%
+ 46.1890
2.16%
2023.1/4 2,173.5772
+ 11.8033
0.55%
+ 66.0450
3.13%
2022.4/4 2,161.7739
+ 9.6890
0.45%
+ 81.5750
3.92%
2022.3/4 2,152.0849
+ 17.3670
0.81%
+ 119.2000
5.86%
2022.2/4 2,134.7179
+ 27.1855
1.29%
+ 137.1830
6.87%
2022.1/4 2,107.5324
+ 27.3339
1.31%
+ 150.3890
7.68%
2021.4/4 2,080.1985
+ 47.3140
2.33%
+ 147.0460
7.61%
2021.3/4 2,032.8845
+ 35.3500
1.77%
+ 106.5180
5.53%
2021.2/4 1,997.5345
+ 40.3909
2.06%
+ 75.9660
3.95%
2021.1/4 1,957.1436
+ 23.9912
1.24%
+ 28.8130
1.49%
정보
출처
한국은행[국민계정]

주석
- 국내총생산(GDP, Gross Domestic Product)
일정 기간 동안, 한 나라 영토 안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 합계
ㅇ 국내총생산(Y) = 소비(Consumption) + 투자(Investment) + 정부지출(Government expenditure) + 순수출(net Export, 수출-수입)
- GDP(원계열, 명목, 분기 및 연간)
ㅇ 생산액을 당해년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것으로, 물가 상승분이 반영된 것. 국민경제의 전체적인 규모를 파악하거나 구조 변동을 분석하기에 적합.
ㅇ 즉, 현재 물가를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물가상승이 심각한 경우 생산량이 늘지 않더라도 국내총생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날 수 있음.
ㅇ 현재물가*생산량
- GDP(계절조정, 명목, 분기간)
- 실질GDP성장률(실질,계절조정,전기비)
ㅇ 생산량에 기준년도 시장가격을 곱하여 계산이 되어 가격 변동을 배제하고 생산량 변동만이 반영. 경제성장이나 경기변동과 같은 국민경제의 실질적 생산활동을 파악하는데 적합.
ㅇ 시점 간 비교연구에서 쓰이며 물가를 특정 연도에 고정시킴
ㅇ 고정물가*생산량
ㅇ 속보(28일 이내), 분기잠정(70일 이내), 연간잠정(해당연도 종료 후 3개월 이내), 확정(익익년 6월)
ㅇ 실질GDP, 실질성장률은 발표시기(한국은행, GDP속보치 발표)와 명목GDP, 명목소득 증감률의 발표시기(한국은행, GDP잠정치 발표)가 차이가 있어 국내총생산(명목GDP)과 경제성장률(실질성장률) 업데이트 시기가 다름
- 1인당GNI(Gross National Income)
ㅇ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연간의 명목 국민총소득을 연앙인구(7월 1일)로 나누어 구하며 국제비교를 위해 미 달러화(연평균환율 적용)로도 표시

추가설명
- GDP(4분기합) 계산방법
해당되는 분기의 최근 4개분기GDP를 합산
ㅇ 2021.3/4 = 2021.3/4 + 2021.2/4 + 2021.1/4 + 2020.4/4
ㅇ 2021.2/4 = 2021.2/4 + 2021.1/4 + 2020.4/4 + 2020.3/4

최종수정일
2023-12-05